분류 전체보기 1680

칭명염불 수행법의 이론적 토대 - 성명쌍수

칭명염불 수행법의 이론적 토대 - 성명쌍수 수행자가 칭명염불 수행법에 대한 든든한 이론적 토대를 얻기 위해 서는 성명쌍수에 대해서 이해하면 좋다. 흔히 동양 철학과 동양 수행 을 하는 수행자라면 고대 성현들로 부터 전승된 성명쌍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을 것이다. 성명쌍수란 성(성품)과 ..

미래제가 다해도 멸도할 수 없는 부처님의 수명 - 《법화경》<여래수량품>..

미래제가 다해도 멸도할 수 없는 부처님의 수명 - 《법화경》&lt;여래수량품&gt;의 법문을 다보불께서 증명하시다 부처님께서는 노년에 왕사성 기사굴산영취산에서 많은 비구, 비구니, 8만 정토보살들과 신들의 왕인 제석천 그 2만의 천자들, 여덟 용왕, 긴나라, 건달바, 아수라, 가루라의 왕들 그 수만..

견성하여 깨달음을 구족하는 것이 첫 번째 관문

견성하여 깨달음을 구족하는 것이 첫 번째 관문 인간이라는 존재는 중생심이 있고 삼독심이 있어 잡념과 번뇌가 수 시로 치성하게 일어날 때가 많다. 그리고 그러한 잡념과 번뇌는 그리 스 신화의 메두사 머리카락처럼 하나하나가 뱀의 형상을 지닌다. 물론 이는 비유이지만 번뇌가 뱀이라는 비유는 ..

삼신설의 법신을 자성이나 본 면목으로 말하는 것은 치명적인 오류다

삼신설의 법신을 자성이나 본 면목으로 말하는 것은 치명적인 오류다 지금도 많은 불교서적과 불교관련 명상서적에서 자성을 불신과 동일시하는 우를 범하고 있다. 불성은 자성이라고 할 수 있 으나 법신을 자성이나 본 면목으로 말하는 것은 치명적인 오류다. 참으로 안타깝고 가슴 아픈 일이 아닐 ..

본문묘법연화경 본문팔품/법사공덕품(5)

본문묘법연화경 본문팔품 법사공덕품(5) 法師功德品 이시 불고 상정진보살마하살 약 선남자 선여인 수지시법화경 약독약송 爾時에 佛告 常精進菩薩摩訶薩하사대 若 善男子 善女人이 受持是法華經하야 若讀若誦커나 약해설 약서사 시인 당득 팔백안공덕 천이백 이공덕 팔백비공덕 천이백 설공덕 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