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考의方向 論考의方向 우리가 역사를 배우는 가장 큰 목적은 과거의 경험에서 얻어진 잣대로 현실을 꾸려가는 지렛대를 삼아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하고자 함이다. 공자가 온고지신(溫故知新)이라 한것은 바로 이것을 두고 한 말이다. ‘온고’는 과거를 배운다는 뜻이고 ‘지신’은 미래를 예측한.. 현지사의 불서/붓다의메시지존평 2010.03.18
Ⅴ. 관음태교의 목표와 기본방향 Ⅴ. 관음태교의 목표와 기본방향 1. 태교의 이상적인 인간 모델은 부처님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영원불변의 개념인 이데아Idea를 통해 존재의 근원을 밝히고자 했다. 플라톤이 말하는 이데아는 어떤 사물의 본질적 측면이나 보편적 성격, 즉 사물 그 자체 또는 그 원형을 의미한다고 할 수 .. 현지사의 불서/관음태교에서부처님천도까지 2010.03.08
2008.5.12.화(음4.8) 큰스님 춘천 법문 불기2552년 무자년 부처님 오신 날 봉축 법회 수계·2차 부처님업장소멸기도 회향법회 부처님과 팔정도 Ⅱ 오늘 무자년 음력 4월 초파일 우리 부처님 오신 날, 이 성스러운 날, 그리해서 한없이 많은 삼천대천세계 부처님들, 더욱 많은 우리 정토보살님들, 화엄성중님들, 모두 우리 영산불교 현지궁으로.. 현지사의 불서/.....법문집 3권 2010.03.08
2006.04.30. 일(음4.3) 큰스님 춘천 법문 2006.04.30. 일(음4.3) 큰스님 춘천 법문 전라도 부산 인천 서울 등 전국에서 먼 거리를 마다하지 않으시고 이렇게 많이 오셔서 고맙고, 오늘 하루시간 스님의 법문을 듣고져 왔습니다. 여러분은 모르시겠지만 현지사 삼불보전이 아직 단정히 지어지지 않아 정기 초닷새 날로 여기에서 법문을 하고 부처님.. 현지사의 불서/.....법문집 1권 2010.03.08
간화선 실체 간화선 실체 지금 우리나라 불교는 조사선(祖師禪)이 주도하고 있다. 이것을 일명 간화선(看話禪)이라고 하는데, 그 정통성을 따져보면 사실 족보가 없다. 교단 안에서조차도 그 핏줄이 불분명하기는 마찬가지다. 그렇다고 해서 정법 수행과 코드가 맞는 것도 아니다. 각각 문중마다 그 맥을 짜 맞추어.. 현지사의 불서/붓다의메시지존평 2010.03.08
Ⅳ. 왜 관음태교인가? Ⅳ. 왜 관음태교인가? 1. 관세음보살님은 어떤 부처님이신가? (1) 우주 법계의 수많은 부처님들 관세음보살님에 대해 말씀드리기 전에 우주 법계의 부처님들에 대한 설명을 조금 하겠다. 그래야 관세음보살님에 대하여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주 법계에는 수많은 부처님들이 계신.. 현지사의 불서/관음태교에서부처님천도까지 2010.02.22
후기 후기 1. 우리 교주 불세존께서는 45년여 동안에 눈먼 윤회중생을 구제하기 위해서, 먼저 인간이란 무엇인지, 나는 누구이며 무엇인지, 우리는 어떤 존재인지, 어떤 처지에 있는지 그리하여 참된 행복이란 어떤 것인지, 그것을 찾기 위 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되는 것인지에 대해 자상히도 노파심.. 현지사의 불서/현지사본문묘법연화경 2010.02.22
2006년 03월 31일 자재만현큰스님 현지사 춘천 정기법회 2006년 03월 31일 자재만현큰스님 현지사 춘천 정기법회 오늘은 병술년 음력 3월3일입니다. 해동 현지궁 현지사 본사 정기 법회일입니다. 나는 오늘을 남기기 위해서 녹음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끝까지 경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오늘 부산 대구 서울 인천 대전 등 여러 지역에서 먼 거리 임에도 불구하.. 현지사의 불서/.....법문집 1권 2010.02.22
보살에서 붓다로 보살에서 붓다로 큰스님의 최상승의 가르침은 다름 아닌 보살에서 붓다로 이르는 도정(道程)이라고 말하고 싶다. 큰스님께서는 이렇게 설법해 주셨다. “다시 보살이 붓다가 되기 위해서는 보현행원을 해야 하고 참회를 해야 하며 이타심과 회향심, 그리고 남이 잘되는 것을 기뻐해야 하며 수행도중.. 현지사의 불서/깨달음을넘어붓다까지 2010.02.22
천도제 천도제 인터넷에서 가장 뜨겁게 논쟁거리가 되었던 분야가 바로 천도재였다. 이것은 사실 일의 수순이 뒤바뀐 것이다. 일을 추진하는 데는 그 선후가 있다. 진정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싶었으면 큰스님 정신세계를 갖고 따져 물었어야 한다. 만약 불과를 증득한 것이 사실이라면 그 행위 자체를 문제삼.. 현지사의 불서/붓다의메시지존평 2010.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