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적 광 전 대 적 광 전 신라와 고려왕조는 불교를 국교로 하였습니다. 따라서 호국불교로 백성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국운융창을 도모하였습니다. 이러한 호국불교 사상에 대한 근거는 ≪호국인왕경≫ ≪금광명경≫ 등의 호국 불교경전에 두고 있습니다. 신라의 자장율사는 외적의 침입을 막고 삼국을 통일하.. 염불에서 삼매까지/현지궁 현지사 2010.02.19
칭명염불 칭명염불 현지사에서는 석가모니불 봉창(칭명염불)을 권장한다. 생사윤회를 벗어나기는 대단히 어려우나 현지사는 부처님이 현 신, 상주하시고 자력과 타력을 겸해서 수행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 다. 마음을 모으는 것이 공부의 요체인데 거룩하신 부처님중의 부 처님이신 석가모니불을 염하면서 칭.. 염불에서 삼매까지/석가모니부처님 2010.02.19
Ⅲ. 인간 탄생의 진정한 의미와 부모와 인연 맺기 Ⅲ. 인간 탄생의 진정한 의미와 부모와 인연 맺기 1. 인간 탄생-얼마나 소중하고 귀한 인연인가? 광대무변한 우주 속에서 인간의 위치를 한 번 가늠해 보자. 우리 우주는 얼마나 오래 전에 탄생했으며, 얼마나 많은 별들을 가지고 있을까? 불교에서는 우주는 시작도 없는 무한의 시점에서 인연법에 따라.. 현지사의 불서/관음태교에서부처님천도까지 2010.02.19
4.무아와 윤회 주체 문제에 대한 바른 이해-무아를 잘못 해석하여 모순 4. 무아와 윤회 주체 문제에 대한 바른 이해 -무아를 잘못 해석하여 모순 야기 불교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논란을 불 러일으키고 있는 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이 '무아와 윤회 주체' 의 문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그러면서도 아직도 결 론은 없고 논쟁만 무성한 실정입니다. 어찌 보면 식상하.. 현지사의 불서/붓다의메시지요해 2010.02.19
아라한에서 보살로 아라한에서 보살로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서는 항상 마음을 통해서 회광반조를 해야 하지만 행위에 대해서도 자신을 돌이켜 볼 필요가 있다. 이를 바로 내시반청(內視反聽)이라고 하며 사전적 의미로는 남을 꾸짖기보다 자신을 돌이켜 보고 반성함을 뜻한다. 수행이란 외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 현지사의 불서/깨달음을넘어붓다까지 2010.02.19
영남일보 2007년 1월 20일 - [독서산책] 붓다의 메시지 [독서산책] 붓다의 메시지 "염불이 최고의 수행법이오" 자재만현 지음 /김봉규기자 bgkim@yeongnam.com "선종과 대다수의 대승 불교학자들은 '마음이 곧 부처'라 하고 '마음을 깨치면 곧 부처'라고 해석합니다. 그러나 나는 견성이 공부의 시작에 불과하며 붓다를 이루는 머나먼 도정(道程)의 출발점에 불과.. 언론보도 글 /언론보도 2010.02.19
대한불교 신문 2004년 5월 5일 5면 대한불교 신문 2004년 5월 5일 5면 삼계의 지존 부처님의 삼신을 말한다 (1) 부처님 말씀에 따르면, 우리가 지옥에 떨어지지 않고 짐승으로 환생하지 않을 유일한 길은, 깨달음을 이루어 성자의 반열에 도달하는 것 뿐이라 합니다. 금수(짐승)처럼 행동하면 반드시 짐승몸을 받아 납니다. 정업불면(定業不.. 언론보도 글 /언론보도 2010.02.19
우주와의 계합 우주와의 계합 억겁토록 익혀온 나쁜 습과 기, 천만 생 동안 내려오면서 신구 의 삼업으로 지은 업장, 악연, 삼독 번뇌의 뿌리를 다 녹여 야만 나와 우주가 일체로 계합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인간의 능력은 한계가 있어서 자기가 지은 업, 정업 은 소멸시킬 수 없습니다. 물론 본성을 깨달은 후 보림을 .. 염불에서 삼매까지/우주와 연기법 2010.02.13
자력으로는절대 불 보살이될 수 없습니까? 문6 대 소승의 수행법으로 크게깨쳐도 아라한이라하셨는데, 자력으로는절대 불 보살이될 수 없습니까? 답6 소승상좌부불교 테라바다 대승 금강승의 수행의 본질은 같 습니다. 삼학을 통해서, 탐 진 치 삼독을 닦고 깨달음을 얻고자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수행법이 다를 뿐입니다. 본성을 만남으로써 .. 염불에서 삼매까지/자력과 타력 2010.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