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의 소요유
장자의 사상은 대표적으로 소요유로서 마음이 가는대
로 이리 저리 자유롭게 거닐면서 자연을 벗삼아 풍취를 즐기면
서 살아가는 삶을 의미합니다. 소요유는 단순히 한가하게 일없
이 노니는 삶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마음에 짐을 지우지 않고
즐겁게 살아가는 자세를 말합니다.
만약 어떤 수행자가 수행에 너무 매달리게 되면 마음과 몸의
건강이 악회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현명한 수행자라면 거문고
의 줄을 조율하듯 반드시 마음의 여유를 갖고 수행을 소요유를
하듯 즐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자께서도 일을 좋아하는 사람
보다 일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이 더 뛰어난 사람이라고 하였습
니다. 일을 즐긴다는 것은 바로 일에 빠져 몸과 마음을 피폐하
게 하는 것이 아니라 일을 통해서 심신을 수양하고 마음의 안
정과 정신적 평온을 얻는 것을 말합니다.
한편 철학적으로 살펴보면 실재는 두 가지 양면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 하나가 존재계의 표면에 해당하는 현상계
에서의 실재이고 둘째가 존재계의 이면에 해당하는 정신계에서
의 실재입니다. 장자의 사상은 지극히 정신계의 실재를
강조합니다. 당연히 정신계를 추구하는 삶을 살아가기 때문에
물욕에서 자유롭고 자연과 친화하고 따라서 소요유의 정신을
회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신영복 선생의 <<강의>>라는 책에서도 장자를 다루고 있는데
그 책에서도 소요유를 "아무 거리낌 없이 자유롭게 거닌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는 예를 들어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서 수행의 즐거움을 자유롭게 얻어가는 것을 의미할 수 있
습니다. 수행이 힘들고 어렵더라도 그것을 헤르만 헤세의 '유리
알의 유희'처럼 하나의 유희로서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합니
다. 물론 그 유희는 진지함과 여여한 마음이 중용을 이루면서
균형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자기 계발서 <<핑 (Ping) >>에서는 고대 성현의 가르침을
피력하고 있는데 내용인 즉 "세상의 흐름에 따르라."는 것이었
습니다. 수행이라는 것도 소요유 정신을 따른다면 세상의 흐름
과 변화에 자유롭고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습니다. 오는
사람마다 않고 가는 사람마다 않는 것같이 유유자적한 정신이
수행의 근저에 자리해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소요유는 불가의 견성화 아라한 수준에 지나지
않음을 알아야 합니다. <<21세기 붓다의 메시지>>는 대법문으
로서 미증유의 불법을 설하고 계심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입니
다. 더 나가야 합니다. 그 곳이 바로 보살위로 더 나갈 때 붓
다위를 이룰 수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수행자는 항상 향
상심을 갖고 치열한 구도 정신으로 자신을 부처님의 세계로 인
도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출처/21세기 붓다의 메시지 존평
'염불에서 삼매까지 > 타수행과 비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마크리슈나, 람티어쓰 (0) | 2009.06.24 |
---|---|
[스크랩] 동서양의 철인들 (0) | 2009.06.13 |
[스크랩] 아라한의 깨달음 (0) | 2009.06.05 |
[스크랩] 힌두교의 범아일여 (0) | 2009.05.13 |
[스크랩] 타 동 서양 수행법의 한계 (0) | 2009.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