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Buddhism is like a frog in the well?
한국불교는 우물 안 개구리?
The collections of the Dharma teachings of "The 21st Century Buddha's Message"
written by Great Monk Jajae Manhyon, published by Hyonjisa, Hyonjigung that I have met
amid these doubts on Korean Buddhsim, was extraordinary. I confess that it approached
me as a great shock. It is because as I mentioned earlier, this book has substantially given
me a clue to my long lingering doubts.
Indeed, these colletions of the Dharma teachings are stirring up the old customary
heritage of the Korean Buddhist circle now. It is truly unprecedented. Dispassionately
speaking, this has been a challenge to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and no other than a
lion's roar demanding self-renovation. (Refer to the interview with Great Monk Jajae
Manhyon.)
I am well aware that since Korean Buddhism has been affected by Seon (chan) Buddhism
over a thousand years, many Buddhists perception has been fixed to it.
The Seon Sect and most of Mahayana Buddhist scholars translate the expression of 'Mind
is namely the Buddha.' as'If one enlightens one's mind, he becomes a Buddha.' But I
declare that enlightenment is only the beginning of practice and only the starting point of a
long journey to become a Buddha. The teachings of Buddhism in this country have been
much distorted. It is because there are problems in studying Buddhist scriptur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teachings and practice." (page 11~12)
Great Monk Jajae Manhyon definitely said 'No' on the practice method of the present
Korean Buddhism that has one-sidedly been pursuing for investigation of the Hwadu (head
phrase), but in my point of view, these problems raised by the Great Monk can be
contrasted with the controversy of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raised
by Great Monk Seong-cheol, the then Master Monk of the Jogye Order in 1981. What is
more, the power of Great Monk Jajae Manhyon is far ahead of the latter. The controversy
over the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twenty-seven years ago avoided
the identity itself of Korean Buddhism, but Great Monk Jajae Manhyon has raised far more
fundamental prlblems throughout his Dharma talks.
As he is well aware of these points, he said clearly, "The problems that I have raised are
to mark an epoch for the development of scriptural study of Buddhism."(page 14)
He also made a remark, "His Dharma teachings corresponding to the Copernican
conversion will be evaluated in the distant future." (page 125) Anyhow, the words of Great
Monk Jajae Manhyon are "a noteworthy great event in terms of the history of Buddhism"
(page 187), and are a hot message to the present Korean Buddhsim. Among other things,
his indication, that the present Korean Buddhism is not orthodox Buddhism that has the
perfect logical and theoretical system, but has turned to the level of the religion of mind,
stands out conspicuously.
Why is that? Pople know but little of the study of scriptures because they do not try to
thoroughly read important Sutras of Mahayana Buddhism such as the Lotus Sutra, the
Avatamsaka Sutra, etx. This is because they consistently take ignorant attitudes,
disregarding the essential teachings including the view of birth and death stated therein as a
kind of skillful teachings. Hence, thses collections of his teachings are a vital warning to
'Buddhism in a well.' He is also square in the respect that he has concretely revealed the
internal achievements that he has experienced through his long time practice.
"Today' Buddhism says that trying to find the Buddha outside of one's mind is like
boiling the sand to make boiled rice.
한국불교에 대한 이런 의문 속에서 만난 법문집 『21세기 붓다의 메시지』
(자재만현 스님 지음, 현지궁 현지사 간행)는 예사롭지 않았다. 고백컨대
충격으로 다가왔다. 앞서 필자가 언급했던 오랜 의문에 일정 부분 실마리를
제공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이 법문집은 지금 한국 불교계의 오랜
'관습화된 유산' 을 뒤흔든다. 가히 파천황이다. 냉정하게 말해 "한국불교
의 정체성에 대한 도전이고, 자기갱신을 요구하는 사자후"에 다름아니
었다. 〈만현 스님과의 일문일담 참조〉
"한국불교가 천 년 넘게 선불교 영향을 받아서 많은 불자들의 인식이
고착돼 있음을 잘 압니다. 선종과 대다수의 불교학자들은 마음이 곧 부처
라는 말을 '마음을 깨치면 부처'라고 해석합니다.
그러나 나는 견성이 공부의 시작에 불과하며, 부처를 이루는 머나먼 도정
의 출발점에 불과하다고 선언하는 바입니다. 이 나라의 불교 가르침은 많
이 왜곡돼 있습니다. 교학의 바탕이 되는 불교경전 공부에 문제가 있기
때문입니다."(11쪽~12쪽)
만현 스님은 화두 참구 일변도로 진행되어 온 지금의 한국불교 수행 방
식에 '노!'를 분명히 하는데, 내가 보기에 만현 스님의 이런 문제제기는
지난 1981년 당시 조계종 종정이었던 성철 스님의 돈점 논쟁과 일단 비
견할 만하다. 아니 그 위력은 크게 앞선다. 20년 전의 돈점존쟁이 한국불
교 정체성 자체는 피해간 데 비해(아니 고착시킨 데 반해), 만현 스님 쪽
은 훨씬 근본적인 문제제기로 시종한다.
이 점을 선명하게 의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는 "내 문제 제기는 불교 교학
발전의 한 획을 긋는 일"(14쪽)이라고 밝히고 있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에 해당되는 자신의 법문은 먼 훗날평가받을 것"(125쪽)이라는 발언도 던
져 놓고 있다. 어쨌든 간에만현 스님의 발언은 "불교사적으로주목할 만한
큰 사건"(187쪽)이면서도 지금의 한국 불교계에 뜨거운 메시지다. 무엇보다
현재의 한국 불교는 정연한 체계를 갖춘 정통 불교가 아니라 심교, 즉 마음의
종교 수준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우선 강렬하게 눈에 뜨인다.
왜 그럴까? 대승불교의 주요 경전인 <<법화경>> <<화엄경>>등을 잘 읽으려
하지 않으니 교학에 어둡고, 거기에 나오는 생사관을 포함한 핵심 교리들을 방편
설 정도로 치지도외하는 몽매한 태도로 일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번 법문집
은 '우물 안 불교'에 대한 정문일침이다. 자기의 오랜 수행이력의 내공을 구체적
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도 당당하다.
"마음 밖에서 부처를 찾으려고 하는 것은 모래를 쪄서 밥을 구하는 것과 같다고 지
금의 불교계에서는 말합니다. 이 마음이 곧 부처요, 마음자리가 곧 극락이라고 합
니다. (그 결과) 지옥과극락을 마음 안에서만 찾으며 그것(지옥과 극락)은 따로 존
재하는실재가 아니라 우리 마음의 산물에 불과하다고 이야기합니다.
(때문에) 마음 밖에 엄연히 존재하는 지옥, 극락, 부처와 보살 등을 인정하지 않습니
다."(40쪽)
"선은 자기 존재의 본성을 꿰뚫어 보는 것 정도로만 가르쳐왔습니다. 그래서 지옥
이란 것도 우리 마음의 산물로 (가볍게)봅니다. 서방극락 역시 우주생명의 근원적
인 바탕 정도록 봅니다. ----- (이런 식의 소박한 인식은) 자유와 평등의 정의사회
를 구현할 때 그곳이 바로 극락이라는 비약으로 연결됩니다. 관세음보살, 관세음보
살 하는 말도 우주 생명을 의인화한 것이며, 그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말합니다."
(223쪽~224쪽 요약)
만현 스님은 이 같은 법설이 정법을 능멸하는 외도의 설이라고 단언한다. 이를테면
선 불교 쪽에선 <<법화경>> 속에 등장하는 족쇄, 독충, 귀신 등을 비유와 상징으로
해석해 왔다. 대중교육을 위한 서적 상상력의 장치 정도로 이해하는 것이다.
상황이 그러하니 <<법화경>> 11장 <견보탑품>, 15장 <종지용출품> 그리고 16장
<여래수량품>, 등의 위대한 메시지를 건성으로 읽고 만다.
→계속
출처/월간 선불교 2005년 6월호에서 발췌
'언론보도 글 > Culture of Seon(zen)'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view with Great Monk Jajae Manhyon (0) | 2011.01.27 |
---|---|
Culture of Seon(zen) / Korean Buddhism has no future without their ... (0) | 2011.01.11 |
Culture of Seon(zen)/Korean Buddhism has no future without their ...3 (0) | 2010.12.23 |
Culture of Seon/Korean Buddhism has no future without their renovation (0) | 2010.10.31 |